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9205 9205 -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본문 송도에 사는 상근이와 친구들은 송도에서 열리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가려고 한다. 올해는 맥주를 마시면서 걸어가기로 했다. 출발은 상근이네 집에서 하고, 맥주 한 박스를 들고 출발한다. 맥주 한 박스에는 맥주가 20개...
Linked List
연결리스트 연결리스트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값들을 임의로 연결하여 배열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자료구조 구성요소 데이터를 담는 변수 특정 노드를 연결하는 포인터 변수 종류 단일 연결리스트 head부터 시작하여 tail을 향해서만 탐색 가능한 연결리스트 #i...
Codeforces Round #636 (Div. 3) 후기
이번에는 난이도를 한 단계 낮추어 참여하였다. 목표는 전의 contest에서 나의 부족함이 무엇이었는지 찾아내려고 했다. A. Candies 풀이 보기 풀이 간단한 수학 문제이다. 주어진 식에서 $x+2x+4x+…+2^{k-1}x=(2^k-1)x$이므로, 숫자를 2배씩 늘려가면서 나누어 떨어지는 수가 있는지만 검사하면 된다. ...
Codeforces Round #635 (Div. 2) 후기
어제 첫 contest에 참여하였으나 아쉬웠던 부분이 많았다. 그래서 오늘은 시간에 쫓기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시작시간까지 대기하여 참여하였다. 이번에는 Div.3이 아닌 Div.2에 참여하였다. 나의 실력이 어디까지인지 시험해보는 것으로 목표를 잡았다. 문제는 총 2개를 풀어냈다. A. Ichihime and Triangle 풀이 보기 ...
Codeforces Round #634 (Div. 3) 후기
Codeforces라는 문제풀이 페이지를 처음으로 알게 되었고, 그 때에 진행 중이던 이 contest를 참여하였다. 참여할 때에는 몰랐는데, contest는 2시간동안 참여하여 문제를 푸는 형식이었고, 내가 참여하였을 때에는 30분도 남지 않았다. 이미 참가신청은 했기에 최대한 문제를 풀어보자고 생각하고 문제들을 살펴보았다. contest 기간...
[12015]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2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2015 12015 -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2 본문 수열 $A$가 주어졌을 때,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수열 $A = \lbrace 10, 20, 10, 30, 20, 50 \rbrace$ 인 경우에 가장 ...
[7662] 이중 우선순위 큐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7662 7662 - 이중 우선순위 큐 본문 이중 우선순위 큐(dual priority queue)는 전형적인 우선순위 큐처럼 데이터를 삽입, 삭제할 수 있는 자료 구조이다. 전형적인 큐와의 차이점은 데이터를 삭제할 때 연산(operation) 명령에 따라 우선순위가 ...
Array
배열 배열이란? 선언한 자료형의 데이터를 여러 개 저장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자료구조 기본형 (size_t) ArrayName[ Array_Index ] (size_t) ArrayName = new Array[ Array_Size ] // 자바에서의 배열은 배열의 크기를 동적으로 지정할 수 있음 다차원 배열 ...
[1034] 램프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034 1034 - 램프 본문 지민이는 각 칸마다 ($1 \times 1$크기의 정사각형) 램프가 들어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탁자를 샀다. 모든 램프는 켜져있거나 꺼져있다. 각 열의 아래에는 스위치가 하나씩 달려있는데, 이 스위치를 누를 때마다 그 열에 있는 램프의 상...
[17070] 파이프 옮기기 1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17070 17070 - 파이프 옮기기 1 본문 유현이가 새 집으로 이사했다. 새 집의 크기는 $N \times N$의 격자판으로 나타낼 수 있고, $1 \times 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